티스토리 뷰
플러그인에서 WP Mail SMPT 검색하여 설치한다.
플러그인 설치 완료 후 설정을 해야한다.
각 항목의 의미
From Mail : 보내는 측의 이메일 주소
From Name : 보내는 측의 이름
SMTP Host Name : 사용하려는 이메일 사이트의 SMTP값을 넣는다. 일반적으로 이메일 사이트 주소 앞에 'SMTP'를 넣으면 된다. (예를 들어, 네이버이면 smtp.naver.com / 다음이면 smtp.daum.net / 구글이면 smtp.gmail.com)
Type of Encryption : 암호화에 대한 것이다. 이메일 사이트마다 다르다. (예를 들어, 네이버이, 다음, 네이트, 지메일은 SSL 이다. 네이버 웍스모바일은 TLS 이다.)
SMTP Port : 이메일 사이트의 포트번호이다. 이메일 사이트마다 다르다. (예를 들어, 네이버 587, 다음 465, 네이트 465, 지메일 465)
SMTP Authentication : 메일 발송 시 인증여부이다. Yes 를 선택한다.
Username : 보내는 측의 이메일 계정 아이디이다.
Password : 보내는 측의 이메일 계정 비밀번호이다.
상기 내용을 모두 입력한 뒤에 하단에 있는 "변경 사항 저장"을 클릭한다.
제대로 설정 되었는지 확인하려면 우측화면에 있는 기능을 이용한다.
설정을 했는데 제대로 작동을 하지 않을 수 있다.
지메일을 예로 들자면, 테스트를 했더니 지메일 계정으로 이메일이 띠링 하나 날라왔다.
누군가가 계정에 접속하려고 해서 차단했다고 자랑스럽게 얘기힌다. 다른 때 같았으면 자랑스러웠을텐데 이번만큼은... '왜 그랬니?! ㅜ.ㅠ' 싶었다.
구글에서 설정을 변경해주어야 해결된다.
참고
[매일경제] [IT Life] ➎ 국내 포털업체의 메일·캘린더·주소록 이용하기
http://news.mk.co.kr/newsRead.php?year=2011&no=626483
'웹개발 > WordPre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워드프레스(WordPress)에서 add_filter()와 apply_filter() 차이 (0) | 2017.04.29 |
---|---|
워드프레스 폴더(디렉토리) 구조 (0) | 2017.04.01 |
워드프레스 테마 템플릿 계층구조 (0) | 2017.03.29 |
랜딩페이지 만들기 (0) | 2016.01.06 |
플러그인 메뉴가 보이지 않는다 (1) | 2016.01.04 |